본문 바로가기
한국사능력검정시험/기본(4.5.6급)

[한능검 기본] 2 고조선의 등장과 여러 나라의 성장

by tory_write 2021. 10. 10.

<< Ⅰ. 청동기 시대 >>

1. 시작 시기


기원전 2000년에서 1500년경 만주와 한반도에서 청동기 사용이 시작됐다.

2. 청동기 시대 생활 모습

1) 도구

- 청동기는 주로 지배층무기장식용 도구로 사용되었다.

- 농기구는 여전히 돌, 나무 사용했다.(반달 돌칼)

- 민무늬 토기를 제작했다.(무늬가 없는 토기)

[사진 1] 반달돌칼

[사진 2] 반달돌칼 사옹법

[사진 3] 민무늬 토기


2) 농경

- 조, 피, 수수 등을 재배했다.

- 벼농사가 시작됐다.

[사진 4] 농경문 청동기: 농사짓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.


3) 계급의 발생

- 농업의 발달로 빈부 격차 생기고, 지배자피지배자가 등장했다.

** 농업 → 잉여생산물 → 빈부 격차 → 계급

- 군장이 죽으면 고인돌이나 돌널무덤을 만들어 청동기 등을 함께 매장했다.

<< . 고조선 >>

1. 고조선의 건국과 문화 범위

1) 건국

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이다.

2) 단군 신화 속 역사

- 농업사회: 비, 바람, 구름을 관장하는 신하들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.

- 건국이념: 홍익인간(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)

- 제정일치: 단군왕검의 호칭 중 단군 제사장, 왕검 정치적 지배자를 의미한다.

[사진 5] 단군왕검


3) 고조선의 문화 범위

- 청동기를 바탕으로 만주 지역한반도의 서북부 지방까지 세력확장했다.

- 문화 범위를 알려주는 유물: 비파형 동검, 탁자식 고인돌, 미송리식 토기

[사진 6] 비파형 동검


[사진 7] 고인돌

[사진 8] 미송리식 토기



2. 발전과 멸망


<기원전 4세기>
- 중국 경쟁하며 발전했다.
- '' 호칭 사용했다.

[사진 9] 고조선 세력 범위



<기원전 2세기>
- 위만진, 한 교체기에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와서 준왕몰아내고 권력을 잡았다.(위만 조선)

- 철기 문화가 널리 퍼지고 중계 무역으로 번성했다.

** 중계 무역: 고조선은 중국의 한과 한반도 남부의 진 사이에서 중계 무역을 이끌었다.


<멸망(기원전 108년)>
- 고조선의 성장에 위협을 느낀 왕검성공격했다.

- 우거왕(위만의 손자)을 중심으로 1년 동안 맞서다가 멸망했다.

3. 고조선의 사회 모습

1) 통지 조직 정비

- 상, 대부 등의 관직을 설치했다.
- 군대의 우두머리장군이라 불렀다.

2) 법률

- 범금 8조(8 조법)
- 고조선 멸망 후 조항이 60여 개로 증가했다.
- 현재 3개 조항만 전해진다.

** 8 조법 **
- 다른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에 처한다.

- 남에게 상해를 입힌 자는 곡물로 갚는다. : 신체와 노동력 중시

- 도둑질한 사람은 노비로 삼으며, 용서를 받으려면 50만 전을 내야 한다. : 사유 재산 중시, 화폐 사용



[사진 10] 철기를 바탕으로 등장한 여러 나라


<< Ⅲ. 철기를 바탕으로 등장한 여러 나라 >>

1. 철기의 보급

1) 시기

기원전 5세기 중국에서 들어와 기원전 1세기 무렵 한반도에서 널리 사용됐다.

2) 용도

- 무기, 농기구, 생활 도구로 널리 사용됐다. → 노동 생산력증가를 가져왔다. 부족 간의 전쟁이 자주 발생했다. (이긴 부족은 세력을 확장했다.)


2. 만주와 한반도에 세워진 여러 나라

1) 부여

<위치>
만주 쑹화강 유역에 위치했다.

<정치>
중앙을 다스리고 마가, 우가, 저가, 구가사출도를 지배했다. (흉년이 들면 왕이 교체되거나 죽임을 당하기도 했다. 왕의 권력이 약했다.)

<풍습>
- 흰옷을 즐겨 입었다.
- 순장 풍습: 왕이나 지배자가 죽으면 그를 따르던 신하나 노비를 죽여서 함께 묻는 장례 풍습.
- 1 책 12 법: 도둑질 한 자는 12배로 배상해야 하는 엄격한 법률
- 영고: 12월에 열리는 제천행사


2) 고구려

<위치>
부여에서 내려온 주몽이 졸본에서 건국했다.(기원전 37)

<정치>
- 5 부족 연맹 왕국
- 제가 회의에서 중요한 일을 결정했다.

<풍습>
- 서옥제(=데릴사위제): 여성의 집에 서옥을 짓고 미래의 남편이 될 자를 지내게 한다. 여성이 아이를 가지면 남편은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고 여성은 아이가 어느 정도 자라면 남성의 집으로 가 가정을 이룬다.

- 동맹: 10월에 열리는 제천 행사



3) 옥저와 동예

<위치>
- 옥저함경도 동해안
- 동예강원도 동해안

<정치>
- 왕이 없고, 군장(읍군, 삼로)이 백성을 다스렸다.
- 고구려에 흡수됐다.

<풍습>
- 옥저: 민며느리제, 가족 공동 무덤
** 민며느리제: 여자를 남자의 집으로 데려가 키운 뒤 혼인하는 제도.
** 가족 공동 무덤: 가족이 죽으면 한 곳에 묻는 풍습.

- 동예: 족외혼, 책화, 무천(제천행사, 10월)
** 족외혼: 같은 씨족끼리는 혼인하지 않는다.
** 책화: 다른 집단의 경계를 침범하면 소, 말, 노비 등으로 갚도록 한 제도이다.


4) 삼한

<위치>
고조선 멸망 후 한반도 남부마한, 진한, 변한이 성립됐다.

<정치>
- 정치군장(신지, 읍차)이, 종교의식은 천군이 담당했다(소도 지배)
** 소도: 천군이 주관하는 신성한 지역으로 군장의 힘이 미치지 않아 죄인이 들어와도 잡아갈 수 없었다.
- 정치제사분리되어 있었다.


<경제>
- 벼농사가 발달했다.
- 변한에서 한의 군현과 애(일본)에 수출했다.

<제천행사>
5월10월에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.



*이미지 출처
- 네이버 지식백과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