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< Ⅰ. 청동기 시대 >>
1. 시작 시기
기원전 2000년에서 1500년경 만주와 한반도에서 청동기 사용이 시작됐다.
2. 청동기 시대 생활 모습
1) 도구
- 청동기는 주로 지배층의 무기나 장식용 도구로 사용되었다.
- 농기구는 여전히 돌, 나무 사용했다.(반달 돌칼)
- 민무늬 토기를 제작했다.(무늬가 없는 토기)



2) 농경
- 조, 피, 수수 등을 재배했다.
- 벼농사가 시작됐다.

3) 계급의 발생
- 농업의 발달로 빈부 격차 생기고, 지배자와 피지배자가 등장했다.
** 농업 → 잉여생산물 → 빈부 격차 → 계급
- 군장이 죽으면 고인돌이나 돌널무덤을 만들어 청동기 등을 함께 매장했다.
<< Ⅱ. 고조선 >>
1. 고조선의 건국과 문화 범위
1) 건국
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이다.
2) 단군 신화 속 역사
- 농업사회: 비, 바람, 구름을 관장하는 신하들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.
- 건국이념: 홍익인간(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)
- 제정일치: 단군왕검의 호칭 중 단군은 제사장, 왕검은 정치적 지배자를 의미한다.

3) 고조선의 문화 범위
- 청동기를 바탕으로 만주 지역 및 한반도의 서북부 지방까지 세력을 확장했다.
- 문화 범위를 알려주는 유물: 비파형 동검, 탁자식 고인돌, 미송리식 토기



2. 발전과 멸망
<기원전 4세기>
- 중국 연과 경쟁하며 발전했다.
- '왕' 호칭 사용했다.

<기원전 2세기>
- 위만이 진, 한 교체기에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와서 준왕을 몰아내고 권력을 잡았다.(위만 조선)
- 철기 문화가 널리 퍼지고 중계 무역으로 번성했다.
** 중계 무역: 고조선은 중국의 한과 한반도 남부의 진 사이에서 중계 무역을 이끌었다.
<멸망(기원전 108년)>
- 고조선의 성장에 위협을 느낀 한이 왕검성을 공격했다.
- 우거왕(위만의 손자)을 중심으로 1년 동안 맞서다가 멸망했다.
3. 고조선의 사회 모습
1) 통지 조직 정비
- 상, 대부 등의 관직을 설치했다.
- 군대의 우두머리를 장군이라 불렀다.
2) 법률
- 범금 8조(8 조법)
- 고조선 멸망 후 조항이 60여 개로 증가했다.
- 현재 3개 조항만 전해진다.
** 8 조법 **
- 다른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에 처한다.
- 남에게 상해를 입힌 자는 곡물로 갚는다. : 신체와 노동력 중시
- 도둑질한 사람은 노비로 삼으며, 용서를 받으려면 50만 전을 내야 한다. : 사유 재산 중시, 화폐 사용

<< Ⅲ. 철기를 바탕으로 등장한 여러 나라 >>
1. 철기의 보급
1) 시기
기원전 5세기 중국에서 들어와 기원전 1세기 무렵 한반도에서 널리 사용됐다.
2) 용도
- 무기, 농기구, 생활 도구로 널리 사용됐다. → 노동 생산력의 증가를 가져왔다. 부족 간의 전쟁이 자주 발생했다. (이긴 부족은 세력을 확장했다.)
2. 만주와 한반도에 세워진 여러 나라
1) 부여
<위치>
만주 쑹화강 유역에 위치했다.
<정치>
왕은 중앙을 다스리고 마가, 우가, 저가, 구가가 사출도를 지배했다. (흉년이 들면 왕이 교체되거나 죽임을 당하기도 했다. 왕의 권력이 약했다.)
<풍습>
- 흰옷을 즐겨 입었다.
- 순장 풍습: 왕이나 지배자가 죽으면 그를 따르던 신하나 노비를 죽여서 함께 묻는 장례 풍습.
- 1 책 12 법: 도둑질 한 자는 12배로 배상해야 하는 엄격한 법률
- 영고: 12월에 열리는 제천행사
2) 고구려
<위치>
부여에서 내려온 주몽이 졸본에서 건국했다.(기원전 37)
<정치>
- 5 부족 연맹 왕국
- 제가 회의에서 중요한 일을 결정했다.
<풍습>
- 서옥제(=데릴사위제): 여성의 집에 서옥을 짓고 미래의 남편이 될 자를 지내게 한다. 여성이 아이를 가지면 남편은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고 여성은 아이가 어느 정도 자라면 남성의 집으로 가 가정을 이룬다.
- 동맹: 10월에 열리는 제천 행사
3) 옥저와 동예
<위치>
- 옥저는 함경도 동해안
- 동예는 강원도 동해안
<정치>
- 왕이 없고, 군장(읍군, 삼로)이 백성을 다스렸다.
- 고구려에 흡수됐다.
<풍습>
- 옥저: 민며느리제, 가족 공동 무덤
** 민며느리제: 여자를 남자의 집으로 데려가 키운 뒤 혼인하는 제도.
** 가족 공동 무덤: 가족이 죽으면 한 곳에 묻는 풍습.
- 동예: 족외혼, 책화, 무천(제천행사, 10월)
** 족외혼: 같은 씨족끼리는 혼인하지 않는다.
** 책화: 다른 집단의 경계를 침범하면 소, 말, 노비 등으로 갚도록 한 제도이다.
4) 삼한
<위치>
고조선 멸망 후 한반도 남부에 마한, 진한, 변한이 성립됐다.
<정치>
- 정치는 군장(신지, 읍차)이, 종교의식은 천군이 담당했다(소도 지배)
** 소도: 천군이 주관하는 신성한 지역으로 군장의 힘이 미치지 않아 죄인이 들어와도 잡아갈 수 없었다.
- 정치와 제사가 분리되어 있었다.
<경제>
- 벼농사가 발달했다.
- 변한에서 한의 군현과 애(일본)에 철을 수출했다.
<제천행사>
5월과 10월에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.
*이미지 출처
- 네이버 지식백과
'한국사능력검정시험 > 기본(4.5.6급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능검 기본] 6 통일 신라와 발해의 사회와 문화 (0) | 2021.10.14 |
---|---|
[한능검 기본] 5 삼국 통일과 발해의 건국 (0) | 2021.10.13 |
[한능검 기본] 4 삼국과 가야의 사회와 문화 (0) | 2021.10.12 |
[한능검 기본] 3 삼국과 가야의 성립과 발전 (0) | 2021.10.11 |
[한능검 기본] 1 선사시대 - 구석기와 신석기 (0) | 2021.10.10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