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능검 기본7 [한능검 기본] 11 고려의 사회와 문화 > 1. 사회 정책 1) 농민 지원 제도 - 농사일이 바쁜 시기에 농민의 동원 금지, 자연재해로 피해를 입게 되면 세금 감면을 해주었다. 2) 의창 설치 - 백성에게 곡식을 빌려주었다가 추수한 다음에 갚도록 했다. 3) 동서 대비원 - 국립 의료 기관으로 가난한 사람의 진료 및 구휼을 담당했다. 2. 가족 제도 1) 가족 구성 -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소가족 중심이었다. 2) 혼인 풍속 - 대체로 일부일처제였다. - 이혼과 재혼이 가능했고, 재혼한 여성의 자녀도 차별 없이 사회 활동이 가능했다. - 사위가 처가살이를 하는 경우가 많았고, 처가의 호적에 오르기도 했다. - 고려 후기 공녀가 되지 않기 위해 일찍 결혼하는 풍속이 유행했다. 3) 상속 - 자녀 균분 상속이 원칙이었다. - 아들과 딸의 구분 .. 2021. 10. 21. [한능검 기본] 9 고려의 대외 관계 > 1. 고려 전기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 1) 거란 - 10세기 초 동아시아 북쪽 초원 지역에서 세력 확장했다. 2) 송 - 5대 10국의 혼란기를 거쳐 중국 재통일했다. 3) 고려 - 송과 외교 관계를 맺고 거란 견제했다. 4) 여진 - 12세기 무렵 세력을 키워 동아시아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했다. 2. 거란의 침입 1) 거란과의 관계 - 건국 초부터 북진 정책을 추진했다. - 발해를 멸망시킨 거란을 견제했다. 2) 거란의 1차 침입(993) - 거란이 중국 침략을 위해 고려에 송과 외교 관계 단절을 요구했다. - 고려의 친송 외교를 구실로 거란 장수 소손녕이 80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했다. - 서희는 소손녕과 담판을 벌여 송과 관계를 끊기로 약속했다. → 거란을 물러나게 하고 강동 6주를 차지했다. .. 2021. 10. 18. [한능검 기본] 8 문벌과 무신 정권의 성립 > 1. 문벌의 형성 과거, 음서, 혼인을 통해 형성(Ex. 경원 이씨) 2. 문벌 사회의 동요 1) 배경 - 문벌 간의 갈등 → 과거를 통해 중앙으로 진출한 관료와 문벌 간의 대립 2) 이자겸의 난(1126) - 배경: 경원 이씨 가문이 권력을 장악 → 이자겸이 최고 권력자로 행사 **이자겸: 딸을 예종과 인종에게 시집보내 인종의 외활아버지이면서 장인이었다. - 전개: 위협을 느낀 인종과 측근 세력이 이자겸 제거 시도 →이자겸이 척준경과 함께 난을 일으켰다. → 인종이 척준경을 포섭하여 이자겸 세력을 제거했다. 3)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(1135) - 배경: 이자겸의 난 이후 인종이 세력을 이용하여 개혁을 추진했다. - 개경파 VS 서경파 대립 - 개경파: 중앙의 문벌(김부식), 유교 사상에 기반, .. 2021. 10. 16. [한능검 기본] 7 후삼국의 통일과 통치 체제의 정비 > 1. 후삼국의 성립 1) 호족의 등장 -신라 말 귀족들의 왕위 다툼으로 중앙 정치의 혼란이 발생했다. - 지방에서 독자적으로 군사를 보유하며 세력을 키운 호족이 등장했다. - 호족은 지방에서 스스로 성주 또는 장군이라 칭하며 자기 지역을 지배했다. 2) 후백제 건국 - 견훤이 완산주(전주)를 도읍으로 심고 후백제를 건국했다.(900) - 전라도와 충정도 일대, 경상도 일부를 차지하며 신라를 위협했다. 3) 후고구려 건국 - 궁예가 송악(개성)을 도읍으로 삼고 후고구려를 건국했다.(901) - 경기도, 황해도, 충청도, 강원도 일대를 차지했다. - 나라의 이름을 마진으로 바꿨다가 철원으로 도읍을 옮긴 후 다시 '태봉'으로 바꿨다. 2. 고려의 건국 1) 왕건 - 송악 출신으로 궁예의 신하가 되어 후고구.. 2021. 10. 15. 이전 1 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