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한국사10

[한능검 기본] 15 조선 전기의 사회, 경제와 문화 > 1. 조선 전기의 사회 1) 신분 제도 - 법률상 모든 백성을 양인과 천인으로 구분(양천제) - 양인: 세금 납부와 국방의 의무 담당, 원칙적으로 과거를 통해 관직 진출 가능, 점차 지배층과 피지배층을 구분하는 경향 → 대두 양반, 중인, 상민으로 분화 양반: 최고 지배층 형성, 각종 국역 면제 중인: 양반과 상민의 중간 신분 → 기술관, 서리, 향리, 서얼 등 **향리: 지방에서 수령을 도와 각종 문서를 작성하고 수령의 재판 업무를 돕는 한편, 조세와 공물을 수납하고 역을 부과하는 일 등을 담당. **서얼: 양반의 양인 첩에게서 태어난 서자와 처인 첩에게서 태어난 얼자를 함께 부르는 말. 서얼은 문과 응시가 금지되었다. 상민: 백성의 대부분 차지, 농업이나 상공업에 종사 - 천인: 대부분 노비 → .. 2021. 10. 28.
[한능검 기본] 13 사림의 성장과 붕당 정치의 성립 > 1. 훈구와 사림 1) 훈구 - 세조 집권을 도운 공신으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세력 - 특징: 문물제도 정비에 기여, 주요 관직 독점, 토지와 노비를 확대했다. **토지와 노비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비리와 부정을 저질러 문제를 일으키기도 했다. 2) 사림 - 15세기 이후 영남과 기호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한 지방 사족이다. - 특징: 지방에서 학문 연구와 교육에 주력했다. 성리학적 향촌 질서 확립에 기여했다. - 성향: 향촌 자치와 왕도 정치를 강조했다. 언론 활동을 중시했다. **왕도 정치: 왕이 높은 도덕성을 바탕으로 신하와 협력하여 백성을 바르게 다스리는 정치로, 유교에서 이상적으로 여겼던 정치 형태. 2. 사림 등장 1) 성종의 사림 등용 - 왕권을 안정시키고 훈구 세력을 견제하고자 김종직을 .. 2021. 10. 23.
[한능검 기본] 12 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 > 1. 조선의 건국 1) 배경 - 권문세족을 비판하고 사회 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신진 사대부와 신흥 무인 세력이 협력했다. 2) 과정 - 위화도 회군(1388):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군대를 되돌려 정권을 잡았다. - 과전법 실시(1391): 권문세족의 농장을 혁파하고, 신진 사대부의 경제 기반을 마련했다. - 반대 세력 제거: 고려 왕조의 유지를 주장하는 정몽주 등을 제거했다. - 조선 건국(1392): 이성계가 왕위에 올랐다. 2. 국가의 기틀 마련 1) 태조 - 국호를 '조선'으로 제정하고 한양으로 천도했다. - 정도전의 활약: 초기 조선의 문물제도 정비에 기여했다. - 재상 중심 정치를 주장했고, 성리학적 통치 이념을 확립했다. 2) 태종 - 국왕 중심의 정치 강화 - 6조 직계제 실시: 6조.. 2021. 10. 22.
[한능검 기본] 11 고려의 사회와 문화 > 1. 사회 정책 1) 농민 지원 제도 - 농사일이 바쁜 시기에 농민의 동원 금지, 자연재해로 피해를 입게 되면 세금 감면을 해주었다. 2) 의창 설치 - 백성에게 곡식을 빌려주었다가 추수한 다음에 갚도록 했다. 3) 동서 대비원 - 국립 의료 기관으로 가난한 사람의 진료 및 구휼을 담당했다. 2. 가족 제도 1) 가족 구성 -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소가족 중심이었다. 2) 혼인 풍속 - 대체로 일부일처제였다. - 이혼과 재혼이 가능했고, 재혼한 여성의 자녀도 차별 없이 사회 활동이 가능했다. - 사위가 처가살이를 하는 경우가 많았고, 처가의 호적에 오르기도 했다. - 고려 후기 공녀가 되지 않기 위해 일찍 결혼하는 풍속이 유행했다. 3) 상속 - 자녀 균분 상속이 원칙이었다. - 아들과 딸의 구분 .. 2021. 10. 21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