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< Ⅰ. 거란의 침입과 격퇴 >>
1. 고려 전기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
1) 거란
- 10세기 초 동아시아 북쪽 초원 지역에서 세력 확장했다.
2) 송
- 5대 10국의 혼란기를 거쳐 중국 재통일했다.
3) 고려
- 송과 외교 관계를 맺고 거란 견제했다.
4) 여진
- 12세기 무렵 세력을 키워 동아시아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했다.
2. 거란의 침입
1) 거란과의 관계
- 건국 초부터 북진 정책을 추진했다.
- 발해를 멸망시킨 거란을 견제했다.
2) 거란의 1차 침입(993)
- 거란이 중국 침략을 위해 고려에 송과 외교 관계 단절을 요구했다.
- 고려의 친송 외교를 구실로 거란 장수 소손녕이 80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했다.
- 서희는 소손녕과 담판을 벌여 송과 관계를 끊기로 약속했다. → 거란을 물러나게 하고 강동 6주를 차지했다.
- 압록강까지 영토를 확대했다.
3) 거란의 2차 침입(1010)
- 고려가 송과 관계를 끊지 않자 거란이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다시 쳐들어와 개경이 함락됐다.
→ 양규 등의 활약으로 격퇴했다.
4) 거란의 3차 침입(1018)
- 현종이 거란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자 강동 6주 반환을 요구하며 침입했다.
→ 강감찬이 귀주에서 거란의 대군을 격파했다.(귀주 대첩, 1019)
→ 고려는 거란과의 전쟁이 끝난 뒤 개경에 나성을 쌓고 국경 지역에는 천리장성을 쌓아 외적의 침입에 대비했다.
<< Ⅱ. 여진의 위협 극복 >>
1. 여진의 위협
1) 고려 초기
- 여진족은 고려를 부모의 나라라 부르며 섬겼다.
2) 12세기
- 여진족이 통합되면서 세력이 강성해져 고려와 국경에서 자주 충돌했다.
2. 윤관의 활약
1) 별무반 조직
- 천리장성을 넘어 여진을 정벌했다.
**별무반: 여진의 기병에 대항하기 위해 윤관의 건의로 편성된 새로운 부대이다. 기병 부대인 신기군을 중심으로 보병인 신보군과 승려로 구성된 항마군 등으로 구성되었다.
2) 동북 9성 개척(1107)
- 여진족의 근거지인 동북 지방에 9개의 성을 쌓고 고려의 영토로 삼았다.
- 여진족의 반환 요구와 방어의 어려움으로 여진족에 9성을 반환했다.
3. 여진과의 관계
1) 금 건국(1115)
- 여진족이 세력을 키워 금을 건국했다.
- 거란(요)을 공격하여 멸망시켰다.
- 송을 남쪽으로 몰아내고 중국 화북 지방을 차지했다.
2) 금과의 관계
- 강력한 군사력을 배경으로 금이 고려에 군신 관계를 요구했다.
- 당시 정권을 잡고 있던 이자겸이 전쟁을 피하기 위해 금의 요구를 수용했다.
<< Ⅲ. 고려의 대외 교류 >>
1. 특징
- 개방적이고 무역을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했다.
→ 주변 나라들과 활발하게 교류했다.
2. 고려의 무역
1) 벽란도
- 위치: 고려 수도 개경 근처 예성강 하구
- 번성: 중국, 일본, 아라비아 상인들까지 왕래하는 국제 무역항
2) 송과의 교류
- 발달된 송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.
- 송은 고려를 통해 안정적 국제 관계를 유지했다.
- 송에 종이, 먹, 인삼, 나전 칠기, 화문석 등을 수출했고, 약재, 비단, 서적 등을 수입했다.
3) 거란과 여진
- 농기구나 곡식 등을 수출했고, 모피나 말 등을 수입했다.
4) 일본
- 인삼, 곡식 등을 수출하고 수은과 유황 등을 수입했다.
5) 아라비아와의 교류
- 고려에 들어와 교역했다.
- 아라비아 상인들에 의해 우리나라가 '코리아'로 서방 세계에 알려졌다.
<< Ⅳ. 고려의 대몽 항쟁 >>
1. 몽골의 성장
1) 칭기즈 칸
- 13세기 몽골 고원에서 유목 생활을 하던 몽골족을 통일했다.
2) 대제국 건설
- 기마병을 앞세운 막강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대제국을 건설했다.
2. 고려와 몽골의 관계
1) 몽골군에 쫓겨 고려에 침략한 거란족을 연합하여 격퇴했다. → 우호 관계가 형성됐다.
2) 몽골은 고려를 복속국으로 취급하며 막대한 공물을 요구했다.
3. 고려와 몽골의 전쟁(1234~1270)
1) 몽골의 고려 침략
- 몽골 사신의 피살을 구실로 몽골군이 고려를 침략했다.(1231)
→ 박서가 이끄는 고려군이 귀주성에서 몽골군을 물리치고 성을 방어했다.
→ 최씨 정권은 개경이 포위되자 서둘러 몽골과 강화를 체결했다.
→ 몽골군이 점령 지역과 개경에 다루가치를 두고 철수했다.
**다루가치: 몽골어로 점령지에 파견한 군대 및 관청의 장관을 뜻한다. 파견된 지역의 행정을 감독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했다.
2) 강화도 천도
- 최씨 무신 정권은 몽골과 맞서 싸우고자 수도를 강화도로 옮겼다.(1232) → 팔만대장경을 제작하여 몽골 격퇴를 염원했다.
3) 김윤후의 활약
- 처인성 전투(1232): 몽골의 2차 침입 때 김윤후가 이끄는 부곡민들이 처인성에서 몽골군의 총사령관 살리타를 사살하며 승리했다.
- 충주성 전투(1253): 몽골의 5차 침입 때 김윤후가 노비 문서를 불태우며 백성들의 사기를 높여 몽골군을 격퇴하고 성을 방어했다.
4) 고려의 피해
- 몽골과의 오랜 전쟁으로 국토가황폐화되고, 백성의 고통이 증가했다.
- 고려의 수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쳤으며 몽골에 포로로 끌려갔다.
- 초조대장경, 경주 황룡사 구층 목탑이 불에 타는 등 귀중한 문화재를 파괴했다.
4. 몽골과의 강화
1) 최씨 무신 정권의 붕괴(1258)
- 최씨 무신 정권은 백성의 어려움을 돌보지 않고 오히려 더 많은 세금을 거두었다.
- 최씨 무신 정권에 대한 백성의 원성이 높아지고 지배층 내부의 불만이 증가했다.
- 항전을 주도하던 최씨 무신 정권이 무너지고, 몽골과의 강화를 추진했다.
2) 개경 환도(1270)
- 고려 정부는 몽골과 강화를 맺고 개경 환도를 결정했다.
5. 삼별초의 항쟁
1) 삼별초
- 최씨 무신 정권의 군사 기반이었다.
2) 항쟁
- 개경 환도를 거부하고 몽골과 끝까지 맞서 싸우기로 결정했다.
- 근거지를 진도(배중손), 제주도(김통정)로 옮겨 가며 항전했다.
3) 진입
- 고려와 몽골의 연합군에 의해 진압됐다.(1273)
*이미지 출처
- 네이버 지식백과, 어린이 백과
- 네이버 지식백과, 학생 백과
- 네이버 지식백과, 두산 백과
'한국사능력검정시험 > 기본(4.5.6급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능검 기본] 11 고려의 사회와 문화 (0) | 2021.10.21 |
---|---|
[한능검 기본] 10 원의 간섭과 새로운 세력의 등장 (0) | 2021.10.19 |
[한능검 기본] 8 문벌과 무신 정권의 성립 (0) | 2021.10.16 |
[한능검 기본] 7 후삼국의 통일과 통치 체제의 정비 (0) | 2021.10.15 |
[한능검 기본] 6 통일 신라와 발해의 사회와 문화 (0) | 2021.10.14 |
댓글